Oxygen Cherry - Pencil
본문 바로가기

기획 저것이것/공부부부

1104 [서비스 기획 공부법] 재생목록

728x90

기획자j님 유튜브: 서비스기획 공부법 재생목록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JFmSPOBqy56SupqAPsYyMM-UAiwooi_Q 

 

서비스기획 공부법

 

www.youtube.com

 

 

 

#1. 서비스 기획 독학하는 방법

  1. 관련 도서 읽기: ux, 서비스 기획, 인터렉션 디자인 - 프로세스가 다 나와있는 책을 정독 3번은 해라. 
  2. 레퍼런스 수집하기: 공모전 구글링 - sk 챌린저스, 앱 기획 공모전 등 책 내용 적용시켜봐라. 
  3. 사소한 불편함을 수집해서 직접 만들어보기: 슬라이드 쉐어, 비핸스에서 피드백 받아보기 

 

#2. 독학 책 추천

  • 인터렉션 디자인 | 에이콘 출판사 | 댄 셔펴 지음
  • 서비스 경험 디자인 | 김진우
  •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 | 김진우
  • 모든 기획자와 프리젠더가 알아야 할 사람에 대한 100가지 사실
  • 도널드 노먼의 ux 디자인 특강 

 

#3. 꾸준하게 공부하는 법 

  1. 인상적인, 최악이었던 서비스 기억해두기
  2. 공부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 만들기. 사이드 프로젝트, 컬럼 쓰기, 스터디
  3. 잠들기 전에 책상에 펼쳐놓았던 부분을 걍 펴놓고 잠, 일어나면 바로 다시 할 수 있음. 예열 시간이 짤븡니까. 

 

#4. 추천 학습 사이트 

 

서울산업진흥원 | SBA아카데미

서울기업 및 서울시민을 위한 커리어 성장 플랫폼

academy.sba.kr

다 마감 되어있고, 서울 오프라인

 

연세대학교 스마트 교육플랫폼 LearnUs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교육을 선도하는 대학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위한 연세대학교의 교육혁신 플랫폼

www.learnus.org

 

Online Learning: Creative Classes on Skillshare | Start for Free

What Will You Discover? Explore new skills, deepen existing passions, and get lost in creativity. What you find just might surprise and inspire you. Browse Classes Membership With Meaning With so much to explore, real projects to create, and the support of

www.skillshare.com

 

 

#5. 기획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도메인 지식

툴만 잘 알면 시키는 것만 하게 되니까 신있는 도메인 지식 한두개 정도는 쟁여놓자. 

예를 들어 전기차 서비스를 기획해야 하는데도 뭐가 불편한지 다른 나라에선 어카는지도 모르면 어떻게 잘 만들어. 

 

*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 정의역 지식, 분야 지식: 특정한 전문화된 학문이나 분야의 지식으로, 보편 지식과는 반대의 뜻을 지닌다.

* 도메인 독립 지식(Domain-Independent Knowledge): 일반적인 지식, 다양한 도메인에 적용할 수 있음. 

* 도메인(Domain)

1.명사 (지식·활동의) 영역[분야], (책임의) 범위 (→public domain)

2.명사 (특히 옛날 개인·정부 등의) 소유지[영토]

3.명사 컴퓨터 인터넷상에서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인터넷 주소

 

https://www.danya.cc/product/domainknowledge#8d932b5f77f045d294a17a24ac1447fd

 

도메인지식 : 정의와 예제들

목차 📎 도메인이란? 📎 도메인 지식이란? 📎 도메인 독립 지식이란? 📎 도메인 지식 향상 방법 📎 직장 내 도메인 지식 📎 기능 지식이란?

www.danya.cc

 

#6. 포트폴리오 만들 때 생각해야 할 3가지

  1. 목적을 생각해라. 입시용인가 구직용인가...
  2. 개요에 목적, 1~3줄 요약 , 프로세스
  3. 프로세스에 고민의 흔적 다 적자. 인터뷰, 데스크리서치, 사람들 의견 검색 등
 

#7. 폿폴에 꼭 들어가야 하는 것

  1. 공통의 관심사 (회사의 관심사와 내 기획이 일치하는지)
  2. 성공한 경험. 시계열보다는 대표적인, 런칭한 프로젝트 위주로
  3. 본인의 정량적 기여도 

취준생은 성공한 프로젝트를 꼽기 힘들다... 

 

 


 

 

유용한 팁이었다. 

도서관 가면 저 책들을 빌려야지. 

아니면 생일선물로 사달라고 찡찡대야겠다!!!!!!!!!!!!!!!!! 

 

후... 찡찡을 받아줄 사람 상시 구인 중.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