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ygen Cherry - Pencil
본문 바로가기

기획 저것이것/공부부부

1107 강의: PO, PM, 서비스 기획 구분

728x90

https://inf.run/TrTg

 

[무료] 제품 관리자와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실전 노하우 - 아낌없이 드립니다! - 인프런 | 강의

오늘도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제품 관리자>,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실전 노하우를 소개합니다., - 강의 소개 | 인프런...

www.inflearn.com

당분간 이 무료 강의를 보기로 했다.
노션을 볼까 피그마를 볼까 고민했는데, 노션이랑 피그마는 어느 정도 쓸줄 아니까 이걸 먼저 보는 게 낫지 않을까 싶었다...

IT 제품 관리자의 직무 구문 (프로덕트 오너, 프로덕트 매니저, 기획자)

https://youtu.be/yHNbFSXc2nc

 


✅ 비지니스 + UX + TECH

CEO: 비지니스
디자이너: UI/UX
개발자: 기술

이 세가지 영역을 다 알면서 소통하는 역할이 바로 제품 관리자.
스타트업에선 CEO가 맡기도 함.


✅ 제품 관리자가 하는 일

  1. 비즈니스 관계자(CEO, 운영자)와 고객의 요구사항 분석 + 벤치마킹
  2. 고객 분석: 설문지, FGI
  3. 설계: IA(뼈대), 정책, 프로세스, 와이어프레임
  4. 현업에선 정책, 프로세스, 와이어프레임을 스토리보드라고 하는데 이게 주요 업무임.
  5. 설계 다 되면 출시 관리. 시니어 되면 일정관리, QA를 함.

* 의사결정자들과 소통하면서 요구사항을 설계문서에 담아내고, 개발자와 디자이너랑 소통하면서 제품을 구현.


✅ PO는 뭐임?
어떤 서비스를 작게 쪼개서 팀 안에 관리자로 세우는 것. 크기 크고 다양하게 서비스하는 회사에서 사용.

[예]
항공, 호텔, 렌터카, 입장권
각 팀마다 PO와 개발자가 있고 디자이너나 데이터 분석가가 가끔 들어감.

[장점]
- 고객 중심으로 최적화 가능. 고객 만족도 업
- 동시다발적 고도화 가능

[단점]
- 인력 비용 높고
- 팀간 화합 안되면 조직 내 분열이..


[하는 일]

  • 로드맵, 백로그, 우선순위, 애자일(EPIC 등의 포맷 사용)
  • 고객한테 어떤 경험 줄지 문장으로 정리하고 데이터 분석하고 A/B 테스트를 함.
  • 와이어 프레임은 안 그림.
  • 기획자보다는 비지니스 전문가가 많이 한다.


* 모든 의사결정을 PO가 가지고 빠르게 결정하기에 MINI CEO임


✅ 업장 구분

[서비스 기획자나 PM이 필요한 곳]

  • 신규 프로젝트를 기획
  • SI 또는 에이전시에서 일할 경우.
  • 카페24나 고도몰 같은 B2B 솔루션일 경우.


[PO 쓰는 곳]
고객의 반응을 봐가면서 최적의 경험을 생산해야 하는 B2C

특히 다양한 고객이 있는 경우.
여행 - 항공, 호텔, 렌터카
금융 - 뱅킹, 대출, 외환 등




✅ 요~약
비지니스, UX, TECH의 중앙에 있어서 소통하는, 다 잘 알아야 하는 역할이 제품 관리자인데
PO는 프로덕트 베이스로 의사결정의 책임
서비스 기획자는 프로젝트 위주, 설계 책임
아울러서 PM


 
 
😮 더 알아야 할 것  
- 프로덕트, 프로젝트 차이 / B2B와 B2C -> 다음 강의에 나오니까 일단 존버 
- SI, 에이전시, 고도몰 등 업계 종류 
- PO 팀이 필요한 곳에서 PM을 한다면? 출시 시절에 기획하던 사람들은 운영 기획으로 바뀌나??? 
- PO는 주로 개발자 출신도 많이 가나?
- PO 팀 구체적인 실무 예시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VaJwjxYqkUIaS0UeNF1DRuLJ9sIREMLl

 

PO, PM, 서비스 기획

 

www.youtube.com

이 재생목록 좋아보이니까 일단 저장해놓는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