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ygen Cherry - Pencil
본문 바로가기

새싹 데이터 분석 교육 (24.05.13~24.08.16)/TIL

주제 발표하는 날

728x90

[성동2기 전Z전능 데이터 분석가] 0726

 

 

파이널 프로젝트 4일차

❇️ 오늘 내용 
1. 주제 발표 (듣기...ㅎ)
2. 주제를 노션 내 페이지에 정리하기 
3. 

 

 

주요 개념

 

             
             

 


오전 강의 

 

 

 

 

 

 

 

| 소제목

요약

 

  • 프로덕트 선정

 

  • 프로덕트 선정

 

 

ㄹㄹ

 

 

 

ㄹㄹ

 

 

 

 

 

 

 

 

 

 

 

 

 


오후 강의 

| 소제목

요약

 

 

  • 데이터 조사 (검색 키워드, 자료 링크 등) 

 

 

  1. 기사 

2. 대졸 구직자 71% ‘취업 상경’ 

3. 일자리 찾아 고향 등지는 청년들… ‘서울바라기’는 선택 아닌 생존

 

4. 부산이 좋아 일하고 싶지만 절반은 일자리 부족해 떠날 생각 

고연봉, 정년보장 등 조건을 구체적으로 따지기보다 적절한 복지가 보장된 ‘부산 일자리’를 원했다. 또 일자리, 주거비 부담 등이 해소된다면, 오히려 수도권보다 부산 정착을 희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5. 400만원 때문에 MZ세대는 부산을 떠난다

6. 취업공고 가장 많이 뜨는 직종은 무엇?

경영·행정·사무직은 '광역시'로, 제조 단순직은 '도'로

 

 

7. 지역별 구인난 심한 업종 2~3개 골라 ‘맞춤형 빈일자리 해소’ 집중 지원

 

 

 

자료 

  1. 청년 취업 준비 경험 데이터
  2. 서울시 직업별 취업자 통계 < 연관데이터 잘 보기 
  3. 서울시 생활인구 이동 
  4. 서울시 청년 유입 통계 
  5. 한국고용정보원_고용조사_청년패널조사_취업자분포 
  6. 고용노동부 공공데이터 제공 목록
    근로복지공단, 한국잡월드 등의 데이터가 있음. 
  7. 서울특별시_구인·채용인원(직종별) 통계  → 직업별 보기 
  8. 전입지 이동사유별 인구이동 → 동별 시도간 이동 수 볼 수 있음. 
    이거에 따르면 2023년엔 서울 관악구에 직업 목적으로 온 경우가 두번째로 많고 
    첫번째는 주택 때문에 서울 내에서 강남구로 이동. (대체 왜) 그외 교육, 주거환경 목적도 강남구가 많음. 
    기타는 송파구가 많다. 
  9. 취업 지역 < 이 키워드로 국가통계포털 코시스에 검색 
  10. 고용행정통계
  11. 도서관 정보나루 지역별 비교분석
  12. 통계지리정보서비스 구인 현황 분석 
  13. 지역별 일자리 < 구글 이미지 검색 
  14. 중소기업 일자리 지도
  15. 지역일자리맵 고용노동부가 하반기에 개통한다고 함.
    지역별 고용률, 구인·구직인원, 임금 수준 등 
  16. [통계청]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1인가구, 성 연령별 거주지 이동자 등 
  17. [한국고용정보원] 필수노동자 규모와 일자리 실태 
    시간당 임금 분위 분포를 필수노동자와 그 외 노동자로 비교, 분포도 등의 내용. 
    돌봄노동자와 청소노동자가 임금 가장 낮은 1분위 구간에 많이 분포해있고 임금 두번째로 높은 9분위에는 필수노동자가 거의 없다는 점을 알 수 있는 유익한 자료였으나, 지역별 분포도 정리는 없었음.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 봐야 할듯. 
  18. 통계청 코시스 e-지방지표

 

 

 

 

데스크 리서치

  1. 지역 일자리 창출 연구 
  2. 청년인구, 2019년 수도권 순유입 8만6천여명... 인구 불균형과 지방인구 위기 심화   
     청년인구의 이동이 지역의 균형발전과 청년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만큼 청년인구의 이동과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요구됨. 이러한 맥락에서 1997년 이후 조사가 중단된 인구이동 특별조사를 청년정책과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관점에서 다시 실시할 필요가 있음.  ■ 더불어 지역별로 자기 지역 내 인구변동의 구체적 실태와 동향(예를 들어 인구이동의 방향과 연령 구성, 지역 관계 등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러한 인구에 대한 실제적 인식을 근거로 지역의 종합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ㄹㅇ;;

  3.  
  4. 1인가구와 고용위기지역-지역특성을 고려한 1인가구 정책방향성 
    ◯ 고용위기지역은 경제사정으로 인해 1인가구 발생을 촉구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한 결과는 단기적, 분절적 지원정책으로는 해결하기 쉽지 않음. 
  5.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주도 일자리 창출 보고서
    ◯ 경북형 상생형 일자리는 2022년 노사발전재단의 노사상생형 지역일자리 컨설팅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진행된 사업이며, 공식적으로 상생형 일자리 사업에 아직 선정되지는 않았지만 ①경북 남부권 지역소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②사양산업을 신산업으로 전환한다는 데 중점을 두며, ③한 도시의 사업이 아니라 연계되는 3개 시·도가 적극적으로 결합하여 추진하고, ④노사민정의 주체가 함께 함께 추진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사례라고 볼 수 있음.
    ↑ 이런식으로 나옴 
  6.  한국고용정보원 | 2018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심층연구 
    월 평균소득, 부모 학력, 고용안정성과 사회적 평판, 전공 일치도, 직업별 표, NEET 등
    2020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7. 지역고용정책연구원 
  8. 시 · 도단위 인구이동 유형과 지역 고령화 
    연령별 인구이동 특성을 반영한 지역의 인구이동은 크게 5개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전반적 증가형`, `청년인구증가형`, `부양인구 증가형` 등은 광역시와 도시화 수준이 높은 경기에서, `청년인구 감소형`은 도 지역에서, 그리고 `인구구조 악화유실형`은 일부 광역시와 도 지역에 혼재되어 나타났다. 각각의 유형은 지역의 인구구조 변화에 차별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 부정적 유형들은 이미 고령화 수준이 높은 지역들에서 나타나 일부 지역들에서 인구유출이 고령화의 심화로 이어지는 악순환 구조가 나타났다.
  9.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10.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11. [제2023-29호] 지역간 인구이동과 지역경제 
    우리나라 수도권은 약 12%의 국토에 50%가 넘는 인구가 몰려 세계적으로도 이례적인 수준
    의 집중도를 보인다. 이러한 집중은 최근 청년층의 활발한 인구이동으로 더욱 심화되고 있다.
    2015~21년 중 수도권 인구 증가에 대한 청년 유입의 기여율은 78.5%이며 반대로 인구가 감소
    한 동남, 호남, 대경권에서 청년 유출의 기여율은 각각 75.3%, 87.8%, 77.2%에 달하였다. 

    거점도시별로 특화된 분야에 대형 인프라를 집중하고, 도심에 지식산업을 집적하여 혁신역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지역간 이동은 무작위가 아니고 자기선택적이어서(selectivity of migrants) 보통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이동성향이 강하다. 

    대졸후 권역외 이동요인에 부모 정보, 전공 등 \ 주요 대도시와 서울간 격차 임금, 의사 수 등 \ 주요 대도시와 서울간 격차 등 
  12. 지역 불균형의 원인과 삶의 만족도 격차 | 여론 속의 여론 

 

 

 

 

오 한국고용정보원의 

고용통계조사 인덱스 북(2022) 

에서 성별, 학교유형, 전공계열별 일자리 분포 ... 이런 표 있고 

또 위에 기사에서 무슨 전공 졸업해서 어디로 가고 싶은데 지방에 일자리 없더라~ 하는 사례 있으니까 

지방에 ㅇㅇ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는 결론을 뽑을 수 있겠다. 

근데 그걸 서비스로 어떻게 푸냐고~ 사업으로는 가능하겠지만~ 

 

 

 

인구이동 특별조사 1997년 보고서 자료가 있는데 

여기에 뭐뭐별 평생이동경험, 장래이동 희망, 이동거리별 등이 있음. 

왜 이런 조사 또 안하냐? 우리나라 실정에 중요한 거 아니냐? 각성하라~! 

 

 

 

 

정리하자면 

필수 유용 자료

  1.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2.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3. 한국고용정보원
  4. 전입지 이동사유별 인구이동 
  5. 청년인구, 2019년 수도권 순유입 8만6천여명... 인구 불균형과 지방인구 위기 심화  
  6.  

 

 

 

 

  • 프로덕트 선정

관련 공모전인 고용노동 공공데이터 활용 공모전은 7월 21일에 이미 끝남. 

 

 

 

ㅀㅎ

 

https://kostat.go.kr/board.es?mid=a30301010500&bid=5110&act=view&list_no=420873&tag=&nPage=1&ref_bid=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jsessionid=R1i19DW79yJfUqukHDrC4zgIOmMn15ZlxrNJjiQpmHVKjd5VUKekImWP6eY72GLh.moel_was_outside_servlet_www1?news_seq=9740 

 

 

 

ㅇㅀㅇ

 

 

 

 

| 개인 경험 정리 - 이력서, 자소서 용

요약 생략?

 

 

 

  • 프로덕트 선정

 

  • 프로덕트 선정

 

  • 프로덕트 선정

 

  • 프로덕트 선정

 

 

  • 프로덕트 선정

 

  • 프로덕트 선정

 


전자책 아이디어 

https://blog.flipbuilder.com/kr/ebook-design-ideas-to-make-your-ebook-more-interactive/5659/ 

 

전자책 요약

https://brunch.co.kr/@443323e4534942a/45 

 

 

다이피아라는 곳의 제작 사례 

https://www.diypia.com/main_03.html 

 

EPUB 2.0 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음원, 영상과 HTML5와 CSS3, 영상뿐 아니라 CSS Animation, MathML, MathJax 등을 사용해 다양하고 역동적인 전자책. 

 

경험 2번
시기 2021년 8월
WHAT 연속 아카데미 사업 데이터 총정리 및 인사이트 도출
WHY  
HOW  
WHAT  
HOW  

 

 


 

여담

 

 

현수님께 공유받은 크롤링 블로그 자료 

https://western-sky.tistory.com/51#2.-%EB%8D%B0%EC%9D%B4%ED%84%B0-%EC%A0%84%EC%B2%98%EB%A6%AC

감사감사룽인 부분~ 

 

 

 

 

 


 

[회고]

 

https://www.makehope.org/%ec%86%8c%ec%85%9c%eb%94%94%ec%9e%90%ec%9d%b4%eb%84%88%ed%81%b4%eb%9f%bdsdc-%eb%aa%a8%ec%a7%91/ 

 

소셜디자이너클럽(SDC) 모집 | 희망제작소

로컬x청년x임팩트 '소셜디자이너클럽'에 가입하세요.

www.makehope.org

이거 신청하기 

 

 

 

 

 


#청년취업사관학교 #데이터분석가 #데이터분석가부트캠프 #DA교육 #데이터분석교육 #실무프로젝트 #실무경험 #취업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 #취업연계교육 #코멘토 #모비니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