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ygen Cherry - Pencil
본문 바로가기

공부, 연구/개발

1103-04 : 1시간만에 끝내는 직장인 코딩 용어 해설

728x90

https://online.spartacodingclub.kr/enrolleds/636216820d03f9907a5e8134/edetails/636216820d03f9907a5e8135?course_id=6178b82938d078df2971b63f 

 

SpartaCodingClub

 

online.spartacodingclub.kr

 

듣는데 지루하지는 않다. 

근데 가끔  설명이 더 필요하단 느낌은 든다.       

 

강의 들으면서 필기한 거 정리 안하고 그냥 올린다. 

저번주에 이런저런 일이 있어서 계속 못했는데 이러다가 영영 못 올리는 것보단 낫잖아~                        


 

#1. 컴퓨터와 인터넷

OS(운영체제) : 인간과 기계가 소통하게 돕는 기반 프로그램

예) 리눅스, 윈도우10, 안드로이드, IOS

 

[UI와 OS]

키보드나 마우스(터미널)로 OS에 내리는 모든 명령을 코딩이라고 함.

코드로 명령을 내리니까 코딩. 그리고 그걸 무슨 말로 하느냐가 프로그래밍 언어

코드를 미리 다 짜놓고 맨날 똑같이 되도록 하는 게 프로그램. 예) 엑셀, 파워포인트 등 

 

 

cli: 폴더를 읽어라, 이런 식으로 명령해서 컴과 대화를 해. 메이크 디렉토리

 

 

좋고 나쁜 건 없고 특성 차이일 뿐임. 파이썬은 입문이 쉽고 라이브러리가 잘 되어있음.

파이썬으로 ~ 윈도우10에 명령~ 

 

컴끼리 소통하는 게 인터넷 웹이라는 소통 방식을 우리는 많이 씀. HTTP는 지금부터 웹 통신을 할 거야 라는 의미 HTTPS는 요새 많이 쓰는 건데, 컴끼리 암구호 표를 미리 교환해서 가운데 통신사나 망 사업자가 못 보게 보안을 강화한 거 ㅇㅇ

인터넷의 바다에서 귀를 열어놓고 웹 통신을 듣게 하는 명령이 바로 웹 서버를 만들었다는 것

 

 

#2. 웹 서비스 동작 방식

접속자가 몰리면 서버가 터지는 이유는 서버가 중간에서 데이터 저장하고 주고 혼자 바쁨

클라이언트가 많이 찾아오면 힘들어짐 카톡이 안보내지는 이유~~! 

 

서버 = 하나의 컴퓨터이며 요청이 오면 응답을 해주는 역할을 맡음

(내 컴퓨터는 그런 역할을 맡지 않았으니 그저 클라이언트) 

서버가 터졌다, 서버가 죽었다 = 갑자기 꺼지거나 멈추거나 과부하 된 상태.

컴퓨터 자원(cpu, 그래픽 카드 등) 중 하나가 먹통이 된 상태. 

겜 하거나 무거운 파일 작업 하다가.

 

서버는 컴터의 직업임. 데이터베이스랑 웹서핑이랑 쓰리잡 시킬 수 있음~ 서버용 컴이 특별하게 있진 않음. 

 

네이버 같은 웹 서비스가 어떻게 동작하냐면 .....

팁으로 우클릭- 검사- 해서 막 바꿀 수 있음 ㅋㅋ

사전을 바밤바로 고치고 막 ㅇㅇ

근데 이건 내 거를 내가 바꾼 거라 ㄱㅊㄱㅊ

새로고침하면 사라짐

 

내건 내맘대로 고칠 수 있는 이유는 이미 페이지를 받아와서 내 컴에 있기 때문임.

컴에 접속해서 받아온 걸 그대로 묘사해주는 게 브라우저임.

새로고침을 하면 원래대로 돌아오는 이유는 다시 받아오기 때문임.

이게 바로 브라우저가 하는 것.

 

HTML(뼈대) CSS(예쁘게) 자바스크립트 (자동완성, 링크 클릭 등의 움직임)

 

페이지 새로고침도 안했는데 광고 바뀌거나 좌석 매진 되는 거처럼 바뀌는 거는 데이터만 갈아끼우는 거임.

광고 바뀌는 것도 데이터 갈아끼우는 거 아닌가? 이걸 바로 제이슨 방식. 데이터를 주는 규칙임.

 

JSON 키:밸류

데이터 갈아끼우는 건 앱에서 많이 쓴다

껍데기 컴포넌트만 가지고 식당 데이터만 바꿔끼움

 

웹은 늘 다시 받아와서 다시 그리기 때문에 업데이트 늦어서 혼자 안보이고 그런 일은 없음 앱은 업데이트 안하면 이벤트 해도 안보이고 막~ 

 

서버: 가운데서 혼자 고생하는 친구

브라우저: 요청하고 받아와서 그대로 그려준다

웹: 다 받아서 다시 그리고 앱은 껍데기는 갖고 있고 데이터만 왔다리 갔다리 ?? 웹 광고 바뀌는 것도 그런 거 아닌가.......? ?? 앱엔 새로고침 없나

 

 

#3. 서버와 클라이언트 통신

API란?

은행은 서버 고객은 클라이언트

고객이 잔고를 확인하려면 입출금 창구에 약속해둔 데이터를 줘야 응답을 해줌

컴터에 있는 창구에 가서 달라는 걸 줘야 응답을 받음

(가) 창구에는 뭘 주면 뭘 주고 (나)는 다른데 이 창구 하나하나가 API

 

클라이언트 개발자랑 서버 개발자가 미리 어케 요청하면 무슨 데이터를 주겠다고 얘기를 해둠 API 명세서는 그걸 문서로 쓴 것.

HTTP://서버 위치/API 주소 ? 가져가기로 한 데이터

예를 들어

영화 네이버 / 영화 정보 API / 특정 영화의 데이터 번호

 

API 하나만 따주세요

요청할 수 있는 기능 창구를 만들어줘

API 개발은 끝났는데 클라이언트는 아직이에요

창구는 만들었는데 요청하는 쪽을 작업 중이에요 (??)

 

아무나 다 똑같은 앱 만들어서 API 부르고 자기네들 거 카피할 수 있으니까 보안 걸려있는데 (저작권 떄문 뿐인가 보안 걱정은 없나)

모두에게 열어놓은 게 오픈 API

공공 데이터 포털 등

 

서버 입장에선 웹에서 오는지 앱에서 오는지 어디서 요청 오는진 상관없고 아무 컴퓨터나 서버 가능함

 

남들이 만든 코드 조각들을 활용하면 좋다 프레임워크

 

게더에서 API란..

 

 

 

#5. 개발 언어와 프레임 워크

 

미리 만들어놓은 블록 세트가 프레임워크

자바 - 스프링

파이썬 - Flask, Django 플라스크와 장고

대표적 예

 

프론트엔드

리액트 뷰 앵귤러 자바 스크립트의 프레임워크

 

파이썬: 입문, 데이터 분석, 자유로움, 직관적 문법

자바: 어렵고 복잡하고 큰 회사

Node.js: 자바 스크립트랑 문법 거의 같아서 프백 같으면 좋은 스타트업에서 잘씀.

 

앱- 리액트 네이티브, Flutter (한번에)

안드로이드 코틀린 아이폰 스위프트

 

언어 특성에 맞춰 선택해서 프레임워크 활용해 

 

 

 

#6. 서버와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복잡해요

배민 이런 곳은 회사 개발자들이 자기네들 서버 지도 못 그려요

클라우드 써서 빌리고 그래요

db 인덱스는 sql

 

 

https://coll-intell0.tistory.com/29

 

1103 1시간만에 끝내는 직장인 코딩 용어 해설 캡쳐

 

coll-intell0.tistory.com

캡쳐로 많이 대체, 따로 업로드

캡쳐는 여기 있쥐롱

 

 

#7. 협업 git

 

개발자는 파일을 많이 다루기 때문에 git로 코드를 분리했다가 합쳐서 협업함

컴에 git 깔아놓고 GitHub에 올라가도록 하는 거임.

 

작업하다가 세이브 포인트에 제출, 보내고 다른 사람 거 다운받기. 남의 코드를 따서 내 거랑 합치기..

commit/push/pull 

 

 

 

 

728x90